
Afterbody2.5 (2025)
크레딧
기획, 안무, 출연: 김수화
드라마투르그: 제이웨이 린
기술 디자인/제작: 신교명
Credits
Concept, Choreography, Performance: Kim Suhwa
Dramaturg: Jye-Hwei Lin
Technical Design/Production: Shin Gyomyung
Dates: 2025.04.04.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4 쇼케이스 코펜하겐
MMCA Performing Arts 2024 Showcase Copenhagen
Venue: Art Hub Copenhagen, Denmark
![]() | ![]() | ![]() | ![]() |
---|---|---|---|
![]() | ![]() | ![]() | ![]() |
Afterbody2.0 (2024)
‘애프터바디’는 전투기나 항공기의 후면 아래에서 방향과 균형을 제어하는 후방동체다. 단어 자체로는 후체 後體; 이후의 몸, 몸 이후, 시간적으로 끝난 혹은 미래의 몸, 존재 이후 등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공연의 무대에는 특정 와이파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은 라우터와 그것을 감지하여 미리 저장된 소리를 재생하는 센서가 있다.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예측 불가능한 시간에 튀어나오는 우연적인 소리 구성은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무대 환경을 대변한다. 공연장에 있는 모든 몸들의 위치와 자세, 콘크리트·유리벽과 같은 건축적 요소들, 빛·온도·습도 등의 자연 환경이 통합적으로 신호 세기의 변화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공연자는 이 환경에 개입하고, 관조하고, 공명하며 스스로 제어와 조향의 몸이 되기를 시도하지만, 그럴수록 인과성이 불분명한 지향 행위 자체에 대해 질문하게 된다. 디지털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은 충만하고 우리는 서로에게 쉽게 도달한다. 그런데 우리는 감각할 수 없는 대상을 어떻게 금세 믿을 수 있게 되었을까. 그리고 금세 잊을 수 있게 되었을까. 금세 모든 것이 아무 것도 아닐 수 있게 되었을까. 금세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모든 것이 될 수 있었을까. 시공간이 제거된 초월적인 정보 교환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채워지지 않는, 절단된 확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나아가 불확실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만끽하며 길을 잃을 수 있는 능력을 갈구하는 몸이 되기를 꿈꾼다. 가득 차 있지만 비어있는 침묵의 공간에서 가득찬 허공을 응시하며 비로소 주변을 볼 수 있을 때까지, 비로소 주변이 나를 보게 될 때까지. 정면만을 향하는 광속의 이동이 아니라 산재한 진동들과 조율하며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않아도 되는 또다른 방향을 찾을 수 있을까.
"Afterbody" refers to the rear fuselage of a fighter jet or aircraft, located below its rear section, which controls direction and balance. The performance stage is created by transforming the basic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onnects us virtually—Wi-Fi signals—into sounds and language perceptible to humans. The performer intervenes in, contemplates, and resonates with invisible signals, attempting to become a body of control and conditions. However, the more they try, the more the intentions and outcomes become ambiguous, prompting questions about the very act of striving itself.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is abundant, and we are more easily connected than ever before. But how is it that we so quickly come to believe in things we cannot sense? And just as quickly, how can we forget them? Rather than seeking certainty, I yearn to become a body that revels in unpredictability and embraces the ability to lose my way. Can I become a body that gazes into the dense void, drifts in new directions rather than forward, and resonates with scattered vibrations?

2024.12.6.-7. 5pm
서울 문화비축기지 T1 Seoul Cultural Tank T1
크레딧
기획, 안무, 출연: 김수화
공동창작: Jye-Hwei Lin
기술디자인, 제작: 신교명
공간디자인, 설치: 허성범(건축적사무소)
사운드디자인, 오퍼레이션: 김동용(끄고키고)
행정: 김윤아
글: 한수민, 하라은
기록촬영: 강민정(엠콜렉티브)
주최, 주관: 김수화
후원: 서울문화재단2024년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Credits
Concept, choreography, performing: Kim Suhwa
Co-creation Jye-Hwei Lin
Technical design, creation: Gyomyung Shin
Space design, installation: Sungbum Heo
Sound design, operation: Dongyong Kim
Production assistance: Sawyer Lee
Administrative Operations: YoonA Kim
Promotion design: Ingee Chung
Text(Review): Sumin Han, Hara Eun
Image archive: Minjeong Kang
Production hosted by Kim Suhwa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fterbody1.0 (2024)
애프터바디는 주로 선박이나 항공기의 동체 뒤쪽에 위치하며, 안정성과 조종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작가는 이 개념을 확장하여 물리적 신체를 관통하고 존재의 경계를 초월하는, 문자 그대로의 ‘애프터바디’라는 개념을 제시한다.이 공연은 핸드폰 와이파이 신호 ‘Android 9707’ 안에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공연(데이터)과 눈앞에서 벌어지는 공연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존재하는 데이터가 구현된다고 볼 수 있다. 광속으로 이동하는 전자기파 Android 9707은 익숙한 표상으로 재현(representation)되는 동시에 퍼포머의 행위를 통해 물질적으로 재연(reenactment)된다.초연결이 일상이 된 오늘날, 전자기파는 데이터로 기록된 대상을 우리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광속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실재하는 신체에 대한 그리움, 호기심, 의심과 머뭇거림을 해치우면서 이들이 부재한 상황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가상적 연결을 더듬어 보는 이 공연은 데이터로 이미 존재했던 공연과 눈앞에서 벌어지는 공연을 대치하게 만들어, 데이터로 존재하는 대상과 실재하는 대상 사이에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던 경계를 드러낸다.
Dates: 2024.09.4.-5.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4 쇼케이스
MMCA Performing Arts 2024 Showcase
Venue: MMCA B1, Multi-Project Hall Lobby
크레딧
기획, 안무, 출연: 김수화
드라마투르그: 제이웨이 린
기술 디자인/제작: 신교명
The afterbody is an important structural component located at the rear of the fuselage of a ship or aircraft that enhances the sta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the body. Kim expands on this notion and proposes a literal rendering of the “afterbody” as something that penetrates the physical body and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existence.
This performance can be said to exist inside the Wi-Fi signal of a cell phone, the “Android 9707.” A pre-existing performance (data) and the actual performance in front of our eyes are connected;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the materialization of existing data. Android 9707, an electromagnetic wave traveling at the speed of light, is represented as a familiar symbol,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physically reenacted through the act of the performer.
In today’s world, where hyper-connectivity has become the norm, electromagnetic waves transmit objects to us that are recorded as data. However, data traveling at the speed of light obliterates any longing, curiosity, doubt, and hesitation towards the physical body, setting its absence as the default mode. This performance reflects on virtual connections, juxtaposing a performance that already exists in data with one that takes place in front of our eyes, revealing the previously invisible boundary between an existence in data and an existence in reality.
Credits
Concept, Choreography, Performance: Kim Suhwa
Dramaturg: Jye-Hwei Lin
Technical Design/Production: Shin Gyomyung
